한국 불교운동사 정점의 현장,
조계사

올해는 1987년으로부터 꼭 20년이 되는 해이다. 20년 전, 한 젊은이의 죽음은 민주화를 바라던 민중의 열망에 불을 지폈고 군부독재정권은 잠시나마 백기를 들었다. 수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뛰쳐나와 깨뜨린 보도블록 조각을 들고 싸웠으며, 최루탄 자욱한 시위 현장의 높은 빌딩 유리창에서 쏟아진 두루마리 휴지들은 마치 살풀이춤의 하얀 수건인양 너울너울 지상으로 떨어져 내렸다.
그해 2월부터 서울을 비롯한 대도시에서는 산발적이면서 격렬한 시위가 지속적으로 일어났다. 그리고 6월 10일 범국민대회를 시작으로 20여 일 동안 전국적으로 5백여 만 명이 참가한 대규모 시위가 집중적으로 일어났으며, 마침내 6·29선언을 이끌어냈다. 긴 군부독재를 종식시키는 결정적 동인이 된 6월민주항쟁. 바야흐로 20년이라는 세월이 훌쩍 지난 올해에는 그해의 민주항쟁을 기리기 위한 행사들이 많이 치러진다.
이달 3일(토)에는 불교계에서 대규모 추모행사를 연다. 그날은 박종철 열사의 49재가 20주년을 맞는 날로 서울 조계사 앞에서 천도재와 다채로운 문화행사가 열린다. 사람이 죽은 날로부터 49일째 되는 날에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며 좋은 곳에서 다시 태어나도록 기도하는 불교의식인 49재는 수많은 민주열사들의 넋을 달래는 상징의식으로 행해져 왔다. 이것은 바로 20년 전 3월 3일, 그날로부터 시작되었다.
불교 최초의 경전인 숫타니파아타에는 다음과 같은 부처님 말씀이 있다. “산 것을 죽여서는 안 된다. 또 남을 시켜 죽여서도 안 된다. 그리고 죽이는 것을 보고 묵인해서도 안 된다. 난폭한 것을 보고 두려워하는 모든 생물에 대해서 폭력을 거두어야 한다.” 이것은 ‘고 박종철 영가 49재 천도식’을 알리는 유인물에도 적혀 있는 글귀이다. 그랬다. 스님들은 부처님 말씀을 따라 살생을 묵인할 수 없어 선방에서 나왔다. 더구나 악랄한 정권의 손에 스러진 넋이었으니, 권력 유지를 위해 살인까지 서슴지 않는 잔악무도한 폭력 앞에서 마침내 불교계가 나선 것이다.
 
 
이용성 씨는 그날의 의미를 이렇게 밝혔다.
“3월 3일은 한국 불교 역사상 가장 많은 스님들이 거리로 나선 날입니다. 또한 스님들이 맨 앞에 서서 전경들과 직접 부딪쳐 싸운 유일무이한 날이지요. 10·27법난 이후 사회 민주화와 불교 자주화를 위한 불교운동이 싹트기 시작했는데, 박종철 열사의 49재를 통해서 비로소 불교 내적인 동력을 이끌어낼 수 있었던 겁니다.”
승복을 입고 최루탄이 자욱한 거리에 선 승려. 화염병도 쇠파이프도 없이 맨손으로 전경들 앞에 선 승려. 상상만으로도 그 모습은 가히 인상적이고 또한 위력적이다. 당시 전경들 역시 스님과 대면하는 것을 무서워했다고 한다. 어느 스님이 백골단에 둘러싸였다. 무술경관으로 구성된 백골단의 손아귀를 무사히 빠져나가기란 어렵다. 그러나 스님은 공중으로 떠올라 360도 돌려차기를 한다.
 
백골단은 순식간에 추풍낙엽처럼 나가떨어진다. 영화나 만화의 한 장면 같지만, 3월 3일에 실제로 있었던 일이다. 이용성 씨가 들려준 목격담인 것이다. 어딜 가도 꼭 한두 명씩은 소림무술을 연마한 스님이 있다고 한다.
불교에서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것은 비폭력 저항이지만, 폭압적인 정권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최소한의 자기 방어를 위한 무기가 필요했고, 거리로 나선 젊은 스님들은 스스로의 몸을 무기로 사용했던 것이다.
1979년 부산 범어사에서 출가한 뒤 동국대학교에 재학 중 49재에 참여했던 법안 스님(49세, 북한산 금선사 주지) 또한 그날의 의미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전했다.
“민중의 고통을 아파하고 그 고통을 함께하는 것이 불가의 가르침입니다. 그러나 한국 불교의 현실은 그렇지 못했습니다. 그날은 그러한 현실에 대해 반성하고 사회적 모순에 저항하고자 하던 스님들에게 새로운 길을 열어준 날이었습니다.”
비록 전경들에 가로막혀 노상에서 천도재를 치러야 했고, 최루탄과 백골단의 위력에 밀려 3~40분 만에 해산되었지만, 49재는 서울을 비롯하여 부산, 광주, 대전, 부천 등 전국적으로 봉행되었고, 범국민추도위의 주도로 ‘범국민 민주화 평화대행진’ 또한 전국에서 동시다발로 개최되었다. 그야말로 49재가 불교의례를 넘어 민중의례로 치러졌던 것이다. 불교운동권에 잘 알려지지 않은 스님들도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등 각 지역마다 적은 수 나마 스님들의 참여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