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 아침 용산역을 향해 가는 택시 안.
“나비축제 보러 가시나 보죠?”
v 광주가 고향이라는 운전 기사는 내가 함평에 간다니까 그렇게 되물었다.
거센 농민운동의 진원지였던 함평은 30년이란 세월을 거쳐 어느덧 축제의 고을로 재인식되는 것일까? 전라남도 광주에서 서남쪽으로 50여 km 떨어진 함평은 서울에서 기차로 꼬박 다섯 시간이 걸렸다.

태풍주의보 때문에 우려했으나 막상 도착한 함평에는 가을 햇살이 따가울 정도로 내리쬐고 있었다. 강렬한 햇볕에 고개를 바로 들기 어려웠으나, 들녘의 벼이삭을 여물게 하기 위한 고마운 볕이라 생각하니 밉기는커녕 정다운 느낌마저 들었다.
서울에서 맛볼 수 없는 풀내음 묻은 바람이 외지인을 반겼고 가을의 초입에 들어선 논은 군데군데 노르스름한 빛깔을 띄고 있었다. 아침에 만난 택시 기사의 말대로 읍내 이곳 저곳에 나비축제 선전물과 나비 모형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푸근한 산과 들에 어울리지 못하고 왠지 생뚱맞아 보였다.
 
정부를 믿은 농민들
1976년 고구마 피해보상운동의 대표 격으로 투쟁을 이끌었던 서경원 전 의원과 가톨릭농민회 회원이었던 장성옥 노인의 안내로 마을을 돌아다니며 관련자들을 통해 당시 상황을 들었다.

그해 3월부터 농협 임직원들은 함평군 내 7,000여 고구마 생산 농가를 상대로 출하 희망 전량을 작년에 비해 17.4% 인상된 고시가격으로 수매하겠다고 선전했다. 수확 시기 직전인 9월에는 농협 전남 도지부장이 직접 함평까지 내려와 “농가소득 증진을 위해 농협이 전량 수매할테니 상인에게 헐값에 팔지 말고 농협에 출하할 것”을 독려했다.

이에 농민들은 철석같이 농협의 약속을 믿고 상인에게 유포시킬 판로나 별도의 저장대책을 마련치 않은 채 수확한 고구마를 농협에서 제공한 포대에 담아 길가에 쌓아두고 농협 차가 오기만을 기다렸다.
마을마다 수확한 고구마는 길가에 쌓인 채 하루, 이틀 시간이 흘러갔다. 하지만 10월이 지나고, 11월이 되어도 농협은 어쩌다 한두 차씩 실어갈 뿐, 대부분의 고구마는 눈비를 맞고 추운 날씨에 부패하기 시작했다.

“그때 밭에는 거지반(거의) 고구마 농사제. 저그 도로가에다 가마니 가마니 해서 쌓아 놓거든? 자기 것 죽 쌓아 놓고, 그 다음 다른 사람 것 쌓아 놓고. 그런데 안 가져가 버리니까 한쪽에서는 막 썩고 난리 났었지.”



11월 말에는 경찰까지 개입되어 농민 대책위원들을 연행해다가 ‘때가 어느 때인데 반정부활동 하느냐’, ‘활동을 계속하면 긴급조치 위반으로 집어 넣는다’는 식의 협박을 했고, 마을 단위 교육에 참가하는 농민들에게도 겁을 주었다.

그러한 방해 책동에도 대책위원들은 다시 마을로 들어가서 두려움에 떠는 농민들을 격려하고 조사활동의 정당성에 대해 설득했다. 대책위원들은 두려움을 극복한 농민들로부터 ‘몇 월 며칠, 농협과 경찰들이 찾아와 작성해
  

간 확인서는 강압적인 방식에 의해서 받아간 것이기에 앞으로 고구마 피해보상운동 과정에서 아무런 증거가 될 수 없음을 해명합니다’라는 내용의 <해명서>를 받아냈다. 노금노 씨의 생생한 설명은 이어진다.

“그해 11월 말까지 각 마을별로 조사를 완료키로 했는데, 이런 사정 때문에 12월 31일에야 함평군 전체 7,300세대의 고구마 생산 농가 중 9개 마을 160농가만 조사에 응했어요. 그런 방해 책동이 없었더라면 더 많은 농가가 피해 조사에 응했을 거예요. 활동가들은 수적으로 적고 군농협 임직원과 경찰, 행정 직원들은 천 명이 넘었으니까. 어쨌든 조사 결과 160농가 손해액이 총 309만원으로 나왔고 그것을 토대로 해서 추정해 보니 전라남북도를 합쳐서 고구마 농가의 손해액이 24억원 정도. 현재 시가로 약 2,000억원 정도의 피해 규모인 셈이었죠.”
 
분노와 함성이 투쟁으로
77년 1월 9일에는 이 조사 결과를 토대로 함평 천주교회에서 2차 대책위원회가 열렸고 농협이 직접 피해보상을 해야 한다는 결정에 따라 군농협 측에 문건을 통해 최후통첩을 보냈다. 그러나 농협 측은 계속 발뺌을 하면서 경찰과 협력해 대책위원들의 활동을 계속 방해했다. 피해보상운동이 해결될 기미가 보이지 않자, 농민들은 하나, 둘 투쟁의 대열에서 빠져 나가기 시작했다.

이에 대책위에서는 강제출자거부운동과 비료강매거부투쟁을 벌려 승리함으로써 투쟁의 불씨를 가까스로 이어나가 4월에는 광주 북동천주교회에서 고구마피해보상을 사안으로 기도회를 열게 되었다.
월간 『대화』에 이 사건 내용이 자세히 보도되면서 전국 각지에서 700여 명의 농민들과 반유신 민주화운동 세력이 집회에 결합했고, 농협 도지부에 진입을 시도했으나 경찰의 폭력진압으로 실패했다.

대책위에서는 이에 도단위의 투쟁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인식 아래 6월 10일 서울 동대문 천주교회, 8월 대전가톨릭회관, 부산 기독학생청년집회 등에 대표를 파견해 고구마 피해보상운동 상황을 알리고 연대를 호소했다.

어느덧 함평 고구마 사건은 노동운동 쪽의 동일방직 사건과 더불어 전국적인 사안으로 부상하게 됐다. 사태가 점차 심각해짐에도 농협 측에서는 탄압과 회유를 번갈아 사용해가며 운동을 무마시키려 할 뿐 자신들의 책임을 인정하려 들지 않았다.
78년으로 넘어오자, 많은 피해 농가들도 보상에 대해 의구심이 커지고 함평을 떠나는 사람들까지 생겨났다. 결국 대책위에서는 최후의 모든 역량을 결집해서 투쟁해야겠다는 구상 아래 4월 24일 광주 북동천주교회에서 다시 한번 대규모 농민대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이날 문익환 목사, 김수환 추기경, 김대중 씨, 김영삼 씨 등 각계 민주 인사들과 단체들이 참여한 가운데 미사와 규탄대회가 진행됐고 옥내 행사가 끝나자 울분과 분노를 참을 길 없는 농민들이 가두로 진출했다. 이는 평소에 농협이 땅의 주인인 농민 위에 군림하는 구태의연한 관료적 속성뿐 아니라 농민의 희생만을 강요해 온 근대화 정책, 영세농의 상환 능력을 무시한 획일적인 주택개량사업, 악덕 재벌들의 토지 투기, 물가폭등을 막기 위한 농산물 수입 등 당시 정권의 전반적인 농정 실패에 대한 반감의 표출이었다.

700여 농민들은 머리띠에 붉은 글씨로 ‘고구마 피해 보상하라!’, ‘농민운동 탄압 중단하라!’, ‘구속회원 석방하라!’등을 써서 묶은 채 각종 피켓을 들고 거리로 쏟아져 나왔다.


 거리의 교통은 완전히 마비되었고 장대를 든 농민들과 곤봉과 방패를 든 전투 경찰들은 몸싸움을 시작했다. 경찰들의 수적인 우세 탓도 있었으나 장기전을 예상한 대책위는 저녁에 다시 성당에 복귀해 그날로 철야 농성에 돌입했다.
 
분노와 함성으로 하룻밤을 보낸 농민들은 다음 단계 투쟁으로 단식을 결행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때는 농번기 철로 접어드는 시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