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키나와 사키마미술관’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미군기지에 예술로 맞서는 미술관을 찾아


글 권기봉 (작가, 역사여행가)

 

한국에서 비행기로 2시간 남짓 밖에 걸리지 않는 일본 최남단의 오키나와현. 크고 작은 160여 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는 오키나와현의 한 가운데에 위치한 이 마을은 인구 약 1천5백 명 정도의 작은 어촌이다. 주민들은 주로 어업이나 농업 등에 의지해 살아가고 있다. 

앞 바다는 거의 전체가 산호초로 뒤덮여 있어 천혜의 아름다운 자연환경을 자랑하는데, 특히 해초류만 먹고 자라는 ‘듀공’이 살고 있어 사람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듀공은 바다사자나 물개와 비슷한 포유동물로 전세계를 통틀어 서식지가 몇 없다 보니 세계자연보전연맹에 의해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되기도 했다. 

듀공 서식지 근처에는 울창한 숲도 있다. 그 면적은 섬 전체의 10퍼센트, 일본 본토에 비해서는 0.1퍼센트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같은 면적을 기준으로 했을 때 그 숲에 사는 식물종은 본토보다 45배나 많고 동물은 무려 51배나 더 많아 가히 ‘동식물의 천국’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만큼 중요한 곳이기 때문일까? 정부나 지자체는 물론 심지어 이 마을에 살고 있는 주민들조차 손을 대지 않고 그저 지켜보기만 할 정도로 조심스럽게 보호하고 있다. 그다지 크지 않은 이 섬마을의 이름은 ‘헤노코[邊野古]’다. 


 

문제는 지난 2006년 이래 주일미군과 일본정부가 이곳에 해상 공군기지를 지으려고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는 점이다. 군기지 건설을 충분한 설명이나 설득 없이 막무가내로 떠안기듯 추진하다 보니 주민 반발이 거센 것은 물론이다. 헤노코 주민 뿐만 아니라 오키나와 각지에서 온 주민들이 군지기 건설이 예정돼 있는 해변에 천막을 친 채 하루 24시간 농성을 시작한 지 2015년 10월말 현재 4천 일이 넘는다. 

오키나와 사람들이 그토록 군기지 건설에 반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헤노코에서 남서쪽으로 약 39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기노완[宜野湾]이라는 도시를 찾았다. 

기노완은 도시 모양부터가 참 특이하게 생겼다. 도시 정중앙에 미 해병대의 후텐마[普天間]기지가 떡 하니 자리 잡고 있고 그 주변을 마치 도넛처럼 시가지가 빙 둘러싸고 있기 때문이다. 기지의 면적만 도시 면적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그 경계지점에, 그러니까 3면이 미군기지의 철조망으로 둘러쳐진 위치에 한 미술관이 자리잡고 있었다. 지난 1994년 문을 연 `사키마[佐喜眞]미술관`이다. 이 미술관의 사키마 미치오[佐喜眞道夫] 관장은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땅이 미군기지에 수용되자 그 대가로 받은 돈으로 미술 작품을 구입하기 시작했고 결국에는 미술관까지 세우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일본인들은 오키나와는 물론 아시아에 대한 침략 사실과 현재까지 오키나와에서 지속되고 있는 일본의 식민주의적 행태를 잊고 있다”며 “그러한 불감증을 깨기 위해 미술관을 세웠다”고 덧붙였다. 한 마디로 역사 건망증에 빠진 일본 사회에 `아시아에 대한 침략 사실`과 `오키나와의 과거사` 및 현재까지 `일본에 의해 계속되고 있는 식민주의적 현실’과 `동아시아의 전후’가 안고 있는 여러 모순들을 예술을 통해 고발하고자 미술관을 세운 것이다. 


 

실제로 사키마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작품들의 주제는 하나 같이 삶과 죽음, 반전과 평화, 그리고 인권에 대한 것들이다.. 예컨대 미술관의 대표 작품인 마루키 이리[丸木位里; 1901~1995]・마루키 토시[丸木俊; 1912~2000] 부부의 1988년작 <오키나와전도[沖縄戦の図]>는 파블로 피카소의 <게르니카>에 비견될 정도로 전쟁의 참혹함을 생생하게 고발하고 있으며, 조르주 루오의 작품과 케테 콜비츠의 판화들, 5.18광주민주화운동을 주제로 한 홍성담의 <5월판화> 등은 인간의 죄악과 구제 그리고 부당한 권력을 향한 저항의지 등을 표상하고 있다. 이렇듯 사키마미술관은 군기지라는 전쟁 도구에서 나온 돈을 평화를 호소하는 예술로 승화시키고 있는 ‘역설의 현장’이었다. 


 

건물 구조도 그렇다. 미군의 상륙과 함께 시작된 오키나와전투가 끝난 날인 1945년 6월 23일을 기려 일부러 23단으로 설계한 외부 계단을 통해 옥상으로 올라가면 눈앞으로 광활한 후텐마기지가 들어온다. 때로 무력해 보일 수도 있는 예술이지만 바로 그 공간 위에서 전쟁의 난폭한 예비 도구들을 내려다 볼 수 있게 함으로써 방문자들이 전복과 반전의 꿈을 꿀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옥상의 서쪽 벽에 뚫어놓은 작은 구멍은 역시 오키나와전투 종전일인 6월 23일 일몰 때마다 햇빛이 건물로 일직선으로 들어오도록 설계되어 있다. 매년 6월 23일마다 사키마미술관이 오키나와전투 때 희생된 이들을 위한 위령공간이 될 수 있게끔 한 것이다. 사키마미술관이 오키나와의 과거와 현재를 잇는 공간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지점이다. 

아름다운 자연환경 덕에 ‘아시아의 하와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오키나와. 하지만 실상을 알고 보면 마치 제2차 세계대전이 아직도 끝나지 않은 양 전쟁의 참혹함이 여전한 곳이기도 하다. 

애당초 오키나와에는 ‘류큐[琉球]’라는 독립국가가 있었다. 해상 무역을 통해 오래도록 번영을 누렸으며, 조선과도 선린 관계를 유지해온 것으로 역사가들은 기록하고 있다.. 그런데 17세기초 일본 사츠마번의 침략을 받은 이후 1879년에는 아예 일본의 일개 현(県)이 되어버리고 만다. 지금의 오키나와현이다. 

오키나와의 역사는 그것으로 끝이 아니다. 지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이오지마(硫黃島)를 제외한 현재의 일본 영토 가운데 유일하게 ‘직접적인 지상전’을 겪은 곳이 바로 오키나와다. 한국전쟁이 그러했듯, 아니 인류가 저지른 거의 모든 전쟁이 그러했듯 전쟁의 최대 피해자는 민간인이었다. 오키나와도 예외가 아니어서, 미군의 상륙을 전후해 미군과 일본군 간에 벌어진 전투 당시 발생한 20만에 가까운 희생자 가운데 무려 10만 명이 민간인이었다. 


 

민간인 피해가 엄청났던 이유는 일본군이 노인은 물론 소년 소녀들까지도 마지막 한 사람까지 싸우기를 강요한 데다, 미군 포로가 되기 전에 스스로 자결하라는 명령을 내린 나머지 아버지가 부인을, 형이 동생을 죽고 죽이는 아비규환이 벌어졌기 때문이다. 바로 그것이 사키마 관장이 미군기지 경계지점에 미술관을 세운 이유다. 즉 전쟁과 폭력에 무감각해진 데다 역사 건망증까지 걸려 버린 ‘본토’ 일본인들에게 일본 정부의 차별을 고발하고 전쟁 없는 평화의 중요성을 호소하는 데 미군기지 철조망 옆은 더 없이 맞춤한 위치였다. 

하지만 사키마미술관의 힘이 아직은 부족한 것일까? 오키나와의 모순은 지금도 현재진행형이다. 일본 국토의 전체 면적 가운데 고작 0.6퍼센트에 불과한 이 작은 오키나와에 주일미군 시설의 약 75퍼센트가 몰려 있다는 사실이 그 점을 잘 드러내준다. 넓은 본토로 옮길 수도 있을 테지만 본인들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일본에 편입된 오키나와에 대한 차별은 지금도 여전해, 미군기지의 현외(県外) 이전은 불가능한 꿈에 불과하다. 거기에 오키나와 헤노코에 또 다른 미군기지까지 건설하겠다고 한다. 그 새 기지가 바로 사키마미술관 옆 후텐마기지를 대체할 기지다! 

물론 지난 10월 13일 오키나와 지사가 2년 전인 2013년 말 승인된 미군기지 이전을 위한 헤노코 연안 매립 결정을 취소해 일본 방위성에 통지하는 `사건`이 있었다. 헤노코에 미군기지를 건설해야만 하는 실질적인 근거가 부족한 데다 필요성을 인정할 수 없으며, 대상지에 듀공과 같은 귀중한 자연이 존재하고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바로 다음날 오키나와현의 미군기지 이전지 매립 승인 취소에 대한 효력정지를 신청하고 나선 상황이다. 후텐마 기지의 헤노코 이전 계획을 기어코 완수해내겠다는 의지다. 


 

코발트 빛의 여유로운 바다와 새하얀 산호 모래, 그리고 늘 여유로운 표정의 사람들…. 오키나와는 한국에서 가장 가까운 휴양지이기도 하나 사키마미술관이 보여주고 있듯 아직도 첨예한 대립이 계속되고 있는 갈등의 현장이기도 하다. 과연 오키나와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일본에서 가장 크고 깊은 슬픔을 간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 오키나와의 눈물은 언제쯤 멎을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