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에 대해 어느 정도 안다고 하는 사람들은 ‘북촌’이라는 마을을 4·3과 동일시한다. 그만큼 북촌이라는 마을이 제주4·3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코드가 된다는 것이다. 북촌과 4·3을 연결하는데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다름 아닌 소설가 현기영의 『순이 삼촌』이다. 물론 소설에는 ‘북촌’이 아니라 ‘서촌’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북촌의 원래 명칭은 ‘뒷개’다. 마을의 아래쪽으로 포구가 있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제주시에서 자동차로 30분 거리에 북촌이 있다. 일주도로를 따라가다 보면 해수욕장으로 유명한 함덕리가 나오는데, 이 함덕리가 4·3 당시 북촌에서 있었던 이른바 ‘북촌대학살’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이다. 함덕리에 당시 대대본부가 있었고 북촌 학살에 참여한 군부대가 바로 이 부대이다. 대대본부가 있었던 함덕초등학교는 지금 놀이공원이 되어 그때의 흔적은 완전히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대학살의 전초가 된 북촌포구
지금은 방파제가 들어서고 포구를 새로이 만들어 옛 모습은 많이 사라졌지만 북촌에 들르면 우선 포구에 가야 한다. 눈 앞에 섬이 들어온다. ‘달여도’라는 섬이다. 포구 앞에 섬이 있으면 비교적 부촌이라 했다. 왜냐하면 섬과 포구 사이에는 비교적 수심이 낮고 해산물이 많아 넉넉하기 때문이다.

1948년 6월 북촌리 포구로 풍선 한 척이 들어온다. 우도를 출발하여 제주로 향하던 배가 풍랑을 만나 잠시 정박하기 위해 들어온 것이다. 당시 북촌에는 군경의 검거 선풍이 몰아치던 국면이라 마을의 소년·소녀들은 언덕에 엎드려 깃발을 흔들어 마을에 들어오는 배 또는 사람들을 마을에 알리는 일을 했다. 배가 들어오자 어김없이 깃발이 나부꼈고 마을 사람들은 포구로 향한다. 배 안에는 경찰 두 명이 타고 있었고 결국 경찰은 마을 사람들에게 희생된다. 그렇지 않아도 5·10 선거를 보이콧 당한 경찰은 이를 빌미로 대대적인 검거에 나선다. 마을 사람들은 남아있다가는 무슨 봉변을 당할지 모르는 처지라 삼삼오오 산으로 오르거나 잠시 집을 피해 마을을 떠난다.

포구 옆에는 ‘등명대’ 라는 비석이 남아있는데 그곳에 등대가 있었다는 흔적이다. 1912년에 세워진 등대이니 꽤 오래된 등대이다. 그런데 이 등대를 유심히 바라보면 군데군데 흠집이 나 있다. 마을 사람들의 증언에 의하면 당시 군경들이 포구에 왔다가 저 비석을 과녁으로 사격연습을 했다는 것이다. 역사의 소용돌이에선 인간도 짐승도 그 어떠한 것도 마음을 놓을 수가 없었던 것이다.

“연설 들으러 나오라” - 북촌초등학교
1948년 음력 섣달 열 아흐렛날 새벽.
북촌 앞을 지나가던 군용차량이 무장대의 기습을 받아 군인이 희생되는 사건이 벌어진다. 도망간 무장대를 추적하던 군인들은 그들의 노획물 중 차롱에 담겨 있는 따뜻한 밥이 있음을 확인하고 필시 이 마을에서 무장대와 내통하고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바로 북촌대학살의 직접적인 도화선이다. 날이 밝자 마을 어른들은 숙의 끝에 시신을 싣고 함덕에 있는 대대본부로 향한다. 우리 마을 사람들의 소행이 아니라는 것을 알리기 위함이다.
옴팡진밭의 유채꽃당시 학살의 현장인 ‘당팟’으로 간다. ‘당(堂)이 옆에 있는 밭’이어서 붙여진 이름이다. 마늘이 싱그럽게 대를 세우고 있다. 학살 이후 이 밭에 고구마를 심었는데 고구마 알맹이가 어린아이 머리통만 했다 한다. 죽은 사람의 피와 살을 먹고 자란 고구마여서 색깔도 핏빛을 띠어 아무도 먹지 않았다 한다.

‘너분숭이’로 간다. 넓은 바위라는 말이다. 당시 죽어간 어린아이의 무덤들이 이십여 개 눈에 들어온다. 경황이 없던 터라 제대로 묻지도 못하고 대강 가매장을 한 흔적이 역력하다.
  
 
이 곳은 원래 소나무 밭이었는데 도로를 확장하면서 공원으로 조성되어 정지작업을 하던 중에 발견하였다.
이제는 4·3을 대표하는 공간으로 많은 이들이 찾는다. 지난해 제주에서 민족문학인대회가 열렸는데 전국에서 모여든 문인들이 자기 지역의 물과 흙을 들고 와 동백나무를 심으면서 합수 합토제를 지냈는데 그때 심은 동백나무가 바람을 머금고 서 있다.
안쪽으로 더 들어가 보면 미완으로 남아있는 방사탑이 눈에 들어온다. 마을에서도 이 탑에 대해 정확한 증언을 하는 이가 없다. 무슨 연유로, 누가 쌓았는지 알 길이 없다. 사실적 근거가 없으면 역사적 상상력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그 미완의 방사탑에 대해 오승국 제주4·3연구소 사무처장은 조심스럽게 자신의 생각을 말한다.

관련 탐방지